우리의 교육은 주로 하지말아야 하는 것을 정해서 강조해주고 있다. 식민지 교육의 잔재가 남아있어서 억압하는 말을 자주하고 있다. 오래 전에 읽은 책의 내용을 라디오 방송에서 어느 대학교수가 말하는 것을 들었다. 자녀에게 "패자의 언어 "대신 "승자의 언어"를 가르치라는 내용이었다.
1. 패자의 언어는 부정적인 말이다.
태어나서 제일 먼저 배우는 말이 엄마, 맘마라고 생각한다. 아가가 살아 가는데 제일 필요한 말이다. 말을 배우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안된다. 하지마라, 때지, ..등 금지하는 말들이 많다. 하는 것 마다 못하게 제지를 받고 자란 사람은 생각이 저절로 부정적이 된다.억압을 많이 받고 자라서 남을 볼때도 단점이 우선적으로 보게 된다.
아이를 임신했을 때부터 엄마는 마음속으로 아기에게 승자의 언어를 가르쳐야 한다.
태어 날 자기의 아기가 착하고 성실하고 따씃한 마음을 가져서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사람일 것을 믿고 기도해야 한다.
* 기부천사 정혜영: 내용과 관계없습니다.
1. 승자의 언어의 구체적인 방법
1). 사람의 좋은 점을 볼 줄알아야 한다.
엄마부터 남편,시집일이나 친구, 선생님의 이야기를 좋은 면만 말해 주어야 한다. 특히 딸은 엄마를 통해서 결혼생활의 행,불행을 판단하게 된다.
2) 전체를 먼저 보고 부분을 볼 수 있게 한다.
친구와 문제가 생겼을 때 왜 그 일이 생겼나 ? 전체적으로 생각해보고 부분적인 문제를 파악한 후 해결책을 생각하도록 생각의 길을 정리해 주어야 한다.
3) 생각을 잠시 하고 말할 줄 알아야 한다.
남의 말했을 때 잠시 생각을 정리하고 말하는 습관을 키워주어야 한다.
4) 사람이나 사건을 있는그대로 받아 드릴수 있어야 한다.
어느 사람을 대할 때 선입견을 가지고 대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고 인정해야 한다.
5) 예절은 모든 인간관계의 기본이다.
예의 바르고 성실하면 어느 곳에서도 사랑을 받게 된다. 요즘 예의 바르고 성실한 사람이 보기 드물다는말을 자주 듣고 있다. 우리 교육의 허실을 보여주는 문제점이다.
6) 상대방의 입장이 돼 봐야 한다.
무조건 원망과 비판을 하지 말고 잠시 상대방 입장이 되서 생각해 보고 말해야 한다.
7) 자기 의사는 분명히 말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나이가 어릴수록 말을 분명히 하지 않고 울거나 징징 짜는 어린이가 많다. 자기 생각을 분명히 말해야 요구를 들어 준다.
8) 남을 칭찬 할 줄 알아야 한다.
남을 칭찬하면 기분이 아주 좋아 지는것을 경험해 보면 좋겠다. 칭찬 하는 것도 반복학습을 해야 저절로 나오게 된다.
9) 그자리에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긍정적인 말만 해라.
그 자리에 없는 사람의 뒷담화는 대부분 흉이 많다. 각자 생각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오는 문제이다. 그자리에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말만 하고 대화를 긍정적인 곳으로 이끌어야한다.
10) 유머어를 알아듣고 사용하는 사람을 좋아 한다.
명랑하고 밝은 사람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다. 남의 말을 듣고 잘 웃어 주고 자기도 재미있게 말하는습관이 필요하다.
** 생각에도 길이 있습니다. 생각을 올바르게 하는 것은 가정에서 배웁니다. 기족들과 소통하며 대화로 자란 사람은 어떤 경우에도 자기를 사랑하고 존중하게 됩니다.자녀를 교육할 때 긍정의 언어를 자기가 사랑받는 행복한 사람인 것을 깨우치게 해 주어야 합니다.너 때문에 이혼을 못한다. 네가 이것을 할 줄 알까? OO 보다 뭐가 부족해서 못하니? OOO 를 안하면 맞을 줄알아라. 이런 패자의 언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역시 네가 해 낼 줄 알았어? 그래 내 아들이면 그렇게 잘해야지, 너는 할 수 있어. 너는 누구에게나 사랑받을 사람이라고 믿고 늘 기도하고 있어. 괜찮아. 다음에 잘하면 되지 ..이런 승자의 언어로 자녀와 소통하고 스킨쉽으로 사랑받고 있는 것을 수시로 느끼게 해주어야합니다.부모의 역할은 생각의 길을 긍정적인 쪽으로 가게 이끌어 주는겁니다.그 방법은 승자의 언어를사용하면 됩니다.
* 참고 서적: 승자의 언어 ( 롤프 미카엘 하안) 중에서 일부 내용을 자녀 교육의 방법으로 재해석 했습니다.
** 교육코너 베스트로 선정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시사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별한 추석 숙제를 내준 초등 1학년 담임 (0) | 2010.09.20 |
---|---|
슈퍼 스타 K , 미치도록 하고 싶은 것을 시켜야 하는 이유 (0) | 2010.09.18 |
생리 검사를 하고 조퇴를 해 준 여교사의 문제점 (0) | 2010.09.14 |
무상급식보다 더 급한것은 체계적인 성교육 (0) | 2010.09.13 |
초등 학급문고에 학부모 필독서를 비치해야 하는 이유 (0) | 201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