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한 학급에 정원이 29~30명이라고 한다.
그전에는 해마다 학기 초면 학급 임원이 된 학생들의 어머니들이 학급문고를 마련했다. 요즈음은 어떻게 운영되는지 모르겠다. 학급마다 학급문고가 있는 것은 확실하다.
1 학급문고 :학년에 맞게 창작동화, 위인전, 명작동화를 구비한다.
(이미 대부분 학교에서 비치하고 있다)
1)학기초에 학급담임이 한 해 동안 꼭 읽어야 할 도서를 선정한다
2) 같은 책을 각 2권씩 60권을 쪽지에 적어서 제비뽑기를 해서 선정한다.
3) 한 학생에게 두 권씩 구해서 읽고 학급문고를 한다.
4) 독서 일기장에 기입하되 한 달에 한 권만 독후감을 쓴다.
5) 개인에 따라서 빨리 반납하면 자주 빌려 갈 수 있다.
6) 반납 기일이 하루 늦을수록 500원의 벌금을 받아서 모인 돈으로 또 책을 산다
2. 학부모 학급문고도 함께 만든다.
(평소에 책을 많이 읽는 학부모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현실은 학생들보다 부모가 더 책을 읽지 않고 있다. 자녀 교육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는 자전적 에세이, 베스트셀러 , 성장소설,역사소설, 등을 학부모 학급문고로 60권 정한다.
* 대학의 교육학과 교수의 조언이나 국어 전공교사에게 문의해도 좋겠다. 학부모가 자치적으로 선정하면 더 좋다, 너무 전문적이어서 어려운 책은 피하는게 좋겠다.
1) 학생이 직접 쓴 공부방법, 자전적 에세이를 읽으면 재미있고 배울점도 많다.
예) "너나 나나 할 수 있다", "공부9단 오기 10단" 이책들은 부모의 지혜와 저녀에 대한 동기유발을 하는방법이 구체적으로 써있다.
2) 성장소설을 학부모가 많이 읽어야 한다.
예) 완득이, 지니(2010오늘의 작가상), "네가 어떤 삶을 살던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 "그건 사랑이었네"
3) 역사적 장편소설을 많이 읽어야 한다.
예) 한강, 아리랑, 태백산맥, 장길산, 토지, ...
4) 동시, 시를 많이 읽어야 한다.
방법)자녀와 함께 내기를 한다. 자녀는 동시를 부모는 시를 일주일에 한편 씩 암기한다. 못 외우면 자녀는 벌칙으로 집안 일을 하나 하고 ,부모는 약간의 돈을 자녀의 통장에 저금해 준다.(1,000원정도)
5) 자녀 교육 성공도서, 자전적 에세이를 많이 읽는다.
예) 반기문 자서전, 안철수 자전적 에세이, ...
6) 대여방법은 자녀를 통해서 빌려오면 된다.
독후감은 쓰고 싶은 책만 간단하게 쓰면 된다. 쓰기 싫으면 쓰지 않아도 된다.
*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학생은 일년에 20권에서 ~30권의 학급문고를 읽게 됩니다. 개인차를 인정해서 독서량을 점수에 반영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학부모 역시 10권~30권의 책을 읽을 수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선택해서 읽는 책들 말고 학급문고로 읽는 책만 그렇습니다. 방학 때는 바쁠 것을 고려한 숫자입니다.
일년에 20권을 읽으면 6년동안 약 100권을 읽게 됩니다. 그러면 자녀교육에 대한 책은 거의 다 읽게 될 것 입니다. 먼저 키운 부모의 자전적 에세이가 제게는 큰도움이 됐습니다. 그분들이 근 30년을 교육한 노하우가 책 한 권에 다 들어 있습니다.
그 책들을 읽고 자기 환경에 맞추어서 자녀를 교육해야 합니다. 그게 제일 중요합니다.
자기 자녀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행복한 삶을 살게 하기위해서 노력하는 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다음 메인,교육코너 베스트로 선정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우리 교육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는데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시사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 검사를 하고 조퇴를 해 준 여교사의 문제점 (0) | 2010.09.14 |
---|---|
무상급식보다 더 급한것은 체계적인 성교육 (0) | 2010.09.13 |
아이돌 가수에 미쳐서 대학 실패한 여고생 (0) | 2010.09.08 |
아들만 있는 엄마가 살아 가는 방법 (0) | 2010.09.04 |
천재자식 자랑하는 아줌마와 웬수가 된 이유 (0) | 2010.09.03 |